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철학
- 2024회고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2024결산
- 자기계발
- 영화 리뷰
- 개발
- 도서
- 책
- 2025년 목표
- 책책책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 1인 개발
- 집단착각
- 심리학
- 2025목표
- 베스트셀러
- 영화
- 사이토 코헤이
- 브랜드의 거짓말
- 취미
- 독서
- 논어의 말
- 마케팅
- 홍보의 신
- 스마트폰과 헤어지는 법
- 제로에서 시작하는 자본론
- 행복
- 책 잘 읽는 방법
- Today
- Total
st_IT_ch
[DEEP WORK (딥워크)] - 몰입의 미친 중요성 본문
DEEP WORK (딥워크) - 강렬한 몰입, 최고의 성과 - 칼 뉴포트
나에게 부족한 점이 뭘까 뽑으면 다섯 손가락 안에 들어가는게 몰입이다. 나는 오래 집중하는걸 힘들어한다. 유일하게 나를 몰입시키는건 개발인데 그것도 정말 드물다. 진짜 바쁘거나 너무 머리가 잘 돌아가는 그런 날에만 한 2-3시간 집중할 수 있고 그 나머지는 한시간을 집중해도 오래 하는 정도로 몰입을 잘 못한다. 하다가도 '아 이따가 청소 해야하는데 이거 해야하는데 이건 어떻게 됐더라' 하면서 다른 생각에 빠지기 일수다.
이런 고민을 계속 하던 중 김봉진 대표님의 추천 도서에 딥워크가 있는 것을 보고 당장 구입해 읽었다.
책의 초반에는 딥워크 몰입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 쭉 설명한다. 특히나 집중하기 힘든 환경에 놓인 요즘 시대에는 더더욱 중요하다 강조한다. 그리고 중요하지 않은 일과 중요한 일을 꼭 구분해야 하며 바쁜 하루를 보냈다고 이게 생산성 높은 하루를 보냈다고 할 순 없다고 뼈를 때린다.( 이 이야기는 다른 자기계발이나 경제 경영 책에도 많이 나온다. )
중반부에는 몰입(DEEP WORK)을 위해 지켜야할 4가지 규칙을 소개한다.
1. 몰입하라
2. 무료함을 받아들여라
3. 소셜미디어를 끊어라
4. 피상적 작업을 차단하라
각각 단계에 대해 간단하게 이야기 하자면,
첫번째 '몰입하라' 단계에서는 명확하고 구체적인 규칙아래 몰입을 습관화 해야한다 얘기한다. 더 자세히 얘기하자면 정해진 장소 시간 그리고 내가 해야할 일을 명확히 계획하고 그 일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 과정은 몰입을 잘 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습관화 되도록 노력해야한다고 설명한다.
두번째 '무료함을 받아들여라' 이 과정은 요즘 현대인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나조차도 5분 아니 그냥 책상에 앉아 1분만 시간이 비어도 바로 핸드폰을 꺼내들게 된다. 이 행동을 통해 우리의 뇌는 산만해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집중이 오래 가기 힘들다는 이야기이다.
세번째 '소셜미디어를 끊어라' 이 이야기는 이미 타이틀부터 뜻이 명확해 길게 이야기하진 않겠지만 저자는 만약 필요성이 명확한 소셜미디어의 경우( 일을 하며 필요한 , 홍보를 위한 SNS 등 )에는 유연하게 행동해야 한다. 하지만 정말 나에게 필요한 것인지 얻는 이익보다 손해가 많은 것은 아닌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 말한다.
마지막으로 네번째 '피상적 작업을 차단하라' 우리는 하루를 정말 필요한 일만으로 가득채우며 보낼까? 사실 그렇지 않다 내가 회사를 다닐때에도 8시간 내내 일을하거나 정말 중요한 일만 하진 않는다. 솔직히 말하면 앉아 멍때릴 때도 많았고 쓸데 없이 메일함을 볼때도 많았고 책상 정리를 한다던지 무의미한 회의를 갖는다던지 이미 커피를 마셨지만 또 사람들과 카페를 가 이야기를 한다던지.. 이렇게 우리를 바쁘게 하지만 지적 능력이 요구되지 않고 중요성이 낮은 일들은 무수히 많다. 이런 일들을 줄여나가 몰입하는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강조한다.
각 단계에서 더 디테일하게 알고 싶다면 또 나처럼 몰입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다면 한번 읽어보았으면 좋겠다.
책의 내용과는 별개로.. 개발에 대한 이야기가 생각보다 상세히 나와 뭐지? 하고 확인해보니 컴퓨터공학과 부교수를 했었다고 한다. 나는 공감이 가는 부분이 많고 흥미로웠는데 전공과 상관없다면 오히려 책의 내용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될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책 책 책을 좀 읽읍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정 욕구] - 나는 인정욕구가 강한 사람인가? (1) | 2024.10.07 |
---|---|
[행복의 기원] - 행복이 "진짜" 필요한 이유 (2) | 2024.10.01 |
[책책책] 행복을 파는 브랜드, 오롤리데이 (0) | 2024.09.18 |
[책책책] 홍보의 신 - 김선태 (0) | 2024.09.10 |
[책 잘 읽는 방법] - 나는 정말 책을 "잘" 읽고 있을까? (1) | 2024.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