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논어의 말
- 영화
- 2025년 목표
- 취미
- 홍보의 신
- 마케팅
- 책 잘 읽는 방법
- 개발
- 심리학
- 사이토 코헤이
- 자기계발
- 철학
- 티스토리챌린지
- 도서
- 오블완
- 2024결산
- 영화 리뷰
- 책
- 2024회고
- 베스트셀러
- 스마트폰과 헤어지는 법
- 책책책
- 2025목표
- 브랜드의 거짓말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 집단착각
- 1인 개발
- 행복
- 제로에서 시작하는 자본론
- 독서
- Today
- Total
st_IT_ch
[행복의 기원] - 행복이 "진짜" 필요한 이유 본문
예전부터 남자친구가 읽고 너무 좋은 책이다 라고 종종 했는데 '책 잘 읽는 방법 - 김봉진'에서도 추천 도서로 들어가 있어 구입해 읽었다.
출간한 지는 10년 정도 된 책인데 이번에 새로 개정판이 나오면서 베스트셀러에도 올라간 듯하다.
원래는 이번주는 다른 책에 대해 쓰려했는데 이 책이 너무 재밌어서 얼른 쓰고 싶었다.
행복의 기원 (인간의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 - 서은국
행복의 기원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행복의 기원 요약
이 책에서는 행복을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그리고 다윈의 진화론적 두 가지 입장에서 설명한다.
목적론 : 인간 행위의 종착지는 결국 행복이다.
우리가 밥을 먹고 직장을 다니고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는 모든 행동은 결국 행복하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진화론: 인간은 동물이고 모든 것은 생존과 번식을 위해 진화된 결과
행복도 결국 생존과 번식에 필요한 요인이라 한다. 결국 우리가 태어난 것은 무언가 목적이 있지 않다.
인간이라고 저기 날아다니는 새보다 땅에 기어 다니는 개미보다 더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존재한다 라고 할 수 없다.
우리도 결국 이 지구에 존재하는 건 누군가의 생존과 번식의 결과이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그렇다면 행복은 생존과 번식에 어떤 영향이 있는가?
첫 번째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 사회적 동물이 된 이유도 생존과 연관되어 있다. 간단히 말하면 모여서 도움을 주고 받으며 살아야 생존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 그래서 사람들과 지내는 것을 우리의 뇌는 좋아한다.
사람과 만나는 것이 행복해야 더 사회적인 인간이 되고 생존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의 뇌는 다른 사람과 무언가를 할 때 행복하도록 설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밥을 먹을 때, 승진을 할 때 등등 이런 상황에서 행복감을 느끼는데 이것 또한 밥먹 먹는 것,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게 되는 것 다 생존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런 행위를 하면 행복할 수 있게 하고 또 인간이 행복을 느끼기 위해 다시 그렇게 행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마지막 부분에는 한국의 행복에 대해 이야기한다.
한국이 행복 지수가 낮은 이유는 집단적인 문화 때문이라 이야기한다.
그렇다면 의문이 생길 수 있다.
사람이 사람 간의 관계에서 행복을 느낀다는데 왜 집단 사회가 행복 지수를 낮추는 것일까?
인간한테서 고기가 정말 중요한 요소이지만 모든 고기가 좋다고 할 순 없다. 썩은 고기를 먹으면 며칠을 고생하게 된다.
중요할수록 양날의 검처럼 나에게 큰 해를 끼칠 수 있다는 말이다.
이런 것처럼 우리의 인간관계도 모든 인간관계에서 행복을 느낀다고 할 순 없다.
마음에 잘 맞는 친구와 이야기를 하면 위로도 받으며 행복해지지만 직장에서 불가피하게 만나는 원치 않는 인간관계는 사람을 가장 힘들게 한다. ( 경험해봤다면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인간관계가 얼마나 사람을 힘들게 할 수 있는지 )
행복의 기원을 읽고 난 후
나는 최근 행복에 대해 정말 고민을 많이 했던 것 같다.
나뿐만 아니라 정말 모든 사람들이 행복하고 싶고 어떻게 해야 행복할 수 있는지 고민할 것이다.
행복에 대한 나의 생각을 코웃음 치며 완전히 뒤엎어준 정말 고마운? 책이다. (정말 너무 감사하게 생각한다..)
이런 류?의 책을 처음 읽게 된다면 거부감이 있을 수 있다.
인간은 결국 동물일 뿐이고 원초적인 본능 생존과 번식에 대해 이야기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는 이것이 거부할 수 없는 사실이기 때문에 꼭꼭 씹어 소화시키려 노력했다.
그리고 한국의 집단사회 문화에 대해서도 정말 많이 공감했다. ( 회사를 다니며 더 뼈저리게 느꼈다. )
물론 이런 집단적 문화가 자리를 잡은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한국 경제가 발전할 것처럼 문화도 발전하며 타인을 과하게 의식하게 되는 환경과 그런 문화는 서서히 없어지길 바라고 있다.
서로가 서로를 옥죄는 이런 사회가 언젠가 변화하길 바라며
이 책에는 내가 요약한 이야기 외에 너무 좋은 이야기들이 많다.
요약의 능력이 아직 부족해 짧은 글에 모든 걸 담기가 힘들다.
승진하고 돈을 많이 벌고 집을 좋은 걸 사고 주식으로 대박 나는 그 순간의 행복은 오래가지 못한다.
결국 언젠간 그 사실에 몸은 적응을 하기 때문이다. 행복하기 위해선 작은 행복을 경험을 통해 자주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내가 언제 행복을 느끼는지
( 나 같은 경우엔 맑은 날 창문을 내리고 드라이브할 때, 남자친구와 무한도전 보면서 맛있는 거 먹을 때, 뷰가 좋은 카페에서 일을 할 때, 탁 트인 공간에서 숨 크게 들이쉴 때, 맑은 하늘을 바라볼 때 등등 )
알고 그 행복을 자주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이 가장 좋다 이야기한다.
정말 이제 정말 마지막으로 결국 우리는 행복을 위해 사는 것이 아니다.
우울할 때에도 짜증이 날 때에도 정말 눈물 나게 슬플 때에도 결국 우리의 인생이다.
행복만이 가치 있지 않다. 다양한 감정을 느낄 수 있고 경험을 할 수 있다. 그것을 받아들이며 살아가는 것도 중요하다.
너무 오랜만에 마음에 드는 책을 읽어서 좀 격양되어 있는 상태다.. 곁에 두고 주기적으로 읽어야겠다.
다들 제발 한번 씩 읽어보세요 ㅠㅠ
'책 책 책을 좀 읽읍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정의 이해] - 감정이 나를 잡아먹을 때 (1) | 2024.10.17 |
---|---|
[인정 욕구] - 나는 인정욕구가 강한 사람인가? (1) | 2024.10.07 |
[DEEP WORK (딥워크)] - 몰입의 미친 중요성 (0) | 2024.09.25 |
[책책책] 행복을 파는 브랜드, 오롤리데이 (0) | 2024.09.18 |
[책책책] 홍보의 신 - 김선태 (0) | 2024.09.10 |